원-달러 환율이 1,360원을 넘으며 세계 금융 위기 이후 13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은 가운데 원화 가치도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블룸버그통신이 31개국 주요 통화의 달러화 대비 등락률을 집계한 결과 원화 가치는 올해 들어 지난 2일까지 12.75% 떨어져 낙폭이 8번째로 컸습니다. <br /> <br />주요국 가운데 일본과 스웨덴, 영국 다음 네 번째로 가치가 많이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세계적인 달러 강세 영향과 경기 침체 우려 등이 겹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되는데, 고환율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펴낸 보고서에서 앞으로 미국 통화정책이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두면서, 내년 말까지 긴축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러시아-우크라이나 사태로 공급망에 차질이 계속되면서 안전자산인 달러화에 대한 선호도 강화됐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66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우리나라 무역수지 적자 역시 환율 상승을 가속화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[민경희 /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 연구위원 : 글로벌(세계적인) 에너지 원자재 가격 불안, 그리고 그 불확실성이라는 게 제일 큰 것 같고, 그 불확실성 때문에 경기 침체 우려가 점점 더 커지는 상황이고…. 원-달러 환율은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수준을 말할 수는 없겠지만 이런 상승세가 지속이 될 거다, 라고 생각을 했습니다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환율 상승이 물가와 민생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선 원유 관세 인하나 기업 금융 비용을 줄여주는 대책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. <br /> <br />YTN 최기성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90509361660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